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10)
[ 인지 / LandingPage ] 어떤 메인 UI가 더 편하게 읽힐까?(3개 홈페이지 비교) 먼저 현재 개인으로서 "혼자" UIUX 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AI 툴을 활용하여, 이 AI를 활용하여, 이 친구가 좋다고 생각하는 데이터 기반으로 측정한 결과로 작성한 글입니다.개수와 사례이커머스 및 서비스 플랫폼 데이터:- 상위 성과를 보인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약 500개 사례- 주요 리테일 웹사이트 약 300개 사례- 서비스 기반 플랫폼 약 200개 사례이 중에서 제시된 3개 웹사이트와 유사한 구조와 목적을 가진 케이스는:- 네이버 스토어 유형: 약 150개 사례- 쿠팡 유형: 약 120개 사례- 퍼블로그 유형: 약 80개 사례 한계 : Ai, Ai 가 좋다고 생각하는 UI/UX 데이터 기반이 어떤 건지 확인 불가.   비교 대상 :  쿠팡 vs 퍼블로그  vs 네이버 스토어   첫 화면 비교(L..
[ 인지 / UX ] 한 줄에 몇 자가 가독성을 높이는 데 좋을까? UX에 대해 이야기하다보면 가독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곤 한다. 그리고 더불어 아이트레킹도 이야기를 하는데... 그렇다면 아이트레킹 기준으로 얼마만큼의 글이 가독성을 높일 수 있을까?다시 말해, 사람의 생물학적 기준으로 한 줄당 몇개의 글자 수(not 논리적)가 아이트레킹으로 읽기 편한가? 결론: 한국어의 경우, 40~60자 이하(한 줄당) 원글 Readability: The Optimal Line Length – Baymard InstituteThe length of text lines substantially impacts their readability — yet this is often overlooked in e-commerce. See our latest test findings on line ..
[ 인지 ] 출퇴근과 예민함 저속노화의 대가 정회원 교수는 한국 사회를 압력밥속이라고 비유했다. 그 만큼 외부적인 요인이 사람들에게 압(壓)을 가한다고 생각한 것이다.그중 내가 생각하고 느낀 압(壓)은 출퇴근이다.2024년 11월 29일 폭설이 내렸다. 지하철이 마비되면서 사람들이 정시 출퇴근을 위해 급하게 탄다. 자리가 없어도 밀고 들어와서 공간을 만들려고 한다. 사람들에 얼굴엔 불쾌감이 가득하다.일명 지옥철(지옥 + 지하철)이 된 것이다. 나만의 공간인간은 진화의 동물이다. 우리는 수만년동안 작은 집단 생활에 최적화된 뇌와 생활 환경에 영향을 받고 살았다.그런데 과학이 발달하면서(?) 우리는 더 빨리, 더 멀리 이동할 수 있게 됐다. 공간의 장벽은 점점 낮아 졌다. 그러면서 나만의 공간의 점점 낮아졌다.문제가 뭐냐하면 이렇게 가..
[ React / 데이터] 메모리 관점으로 JavaScript와 React는 어떻게 다른가? 메모리 관점에서 React를 고려해 보면리엑트는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고 있다. 따라서 메모리 주소가 변경되어야만 Rendering을 시도한다.  JavaScriptReact메모리 관점직접적인 메모리 조작, 단일 참조불변성 기반 새로운 메모리 할당, 여러 버전의 상태 유지상태 보존 단일 상태만 유지이전 상태의 히스토리 관리 가능(시간 여행을 통한 디버깅)메모리 사용량효율적인 메모리 사용 bc 직접 수정약간 더 많은 메모리 사용 bc 새로운 객체 생성하기 때문가비지 컬렉션let obj = { value : 123} obj = null즉시 대상const [ obj, setObj ] = useState({value : 123});setObb(null)내구적으로 관리하며 적절한 시점에 GC 처리  1. 데이터 처..
[ BE / DB ] SQLite을 활용하여 local에 데이터 저장하기(Feat. 공홈) 아래의 정보는 expo 공식 사이트에서 가져온 코드를 해석해본 내용이다. SQLiteA library that provides access to a database that can be queried through a SQLite API.docs.expo.dev Basic CRUD opereationsconst db = await SQLite.openDatabaseAsync('databaseName');// `execAsync()` is useful for bulk queries when you want to execute altogether.// Please note that `execAsync()` does not escape parameters and may lead to SQL injection...
[ 육체 ] 오랫 동안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 이런 말이 있다. 인간은 턱시도를 입은 유인원일 뿐이다. 생명공학(?)이 발달하면서 DNA를 통해서 우리를 조상을 찾아 올라갈 수 있게 됐다. 그렇게 알게 된 것이 우리는 호모 사피엔스는 아프리카 사바나지역에서 걸어나온 호모 에릭투스의 후손이다.걷는 동물 : 호모 에릭투스호모 에릭투스의 가장 큰 장점은 두 발로 걸을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걷기란 그정도로 중요하다. 호모 에릭투스는 댈략 200만 년 전에서 10만 년 전에 출현한 것으로 나타난다.내가 말하고 싶은 부분은 그만큼 인간은 몸은 걷는 것이 중요한다. 그런데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꼼작없이 책상에 앉아서 생활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우리는 200만 년 전부터 생활해 얻은 걷는 능력을 태화시켰다. 그렇게 우리는 골반의 기능을 잃어버리..
[ 인지 / UX ] 인지적 편안함(Feat. 글쓰기 편) 행동경제학자, 대니얼 카너먼는 책 ‘생각에 관한 생각’에서 첫 장부터 뇌의 시스템 1, 시스템 2를 설명한다.개인적 생각으론 사람은 저 두 시스템 방식으로 사고체계를 만들어간다는 전제이지 않을까 한다.시스템 2가 관여하지 않아야 사람들이 시스템 2의 깊은 사고 없이 결제든 점수든 후하게 준다고 한다.  인지적 편안함뇌에는 계기판이 있는데, 거기에 값은 편안함과 압박감이 있고 이것을 가르키는 나침판은 인지적 편안함(Cognitive ease) 이다.편안함 : 어떠한 위협도, 별다른 뉴스도, 주의를 돌릴 필요도, 더 애쓸 필요도 없이 모든 것이 순조롭다는 표시압박감 : 문제가 있으니 시스템 2가 가동되야 한다는 뜻   인지적 편안함과 압박감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효과를 불러온..
[ 경제 / IT ] 세계 경제가 미치는 한국 IT 시장 (Feat. 인플레이션) 세상은 AI 붐으로 미친 듯이 성장했다. 특히 엔비디아가 중심이 되어 엄청난 성장을 이끌었다. 하지만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AI 열풍은 예전만큼 강렬하지 않다. 대신, 세상은 다시 인플레이션과 금리에 주목하기 시작했다.2025년 미국 대통령으로 트럼프가 당선된다. 그의 대표적인 정책 중 하나는 "관세"다. 트럼프는 과거 관세를 "아름다운 단어"라고 표현하며, 이를 통해 미국 내 제조업 부흥과 무역적자 축소를 목표로 했다. 왜 인플레이션이 중요한가?코로나 팬데믹 동안 과도한 유동성 공급은 2022~2023년에 고금리 시대를 가져왔다. 사람들은 대출을 줄였고, 소규모 자영업자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2024년에는 금리가 일부 완화되었으나, 2025년에도 여전히 높은 금리 시대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 AI / AWS ] 아마존 AWS 제공하는 재미있는 서비스 (Feat.PartyRock) 교육을 들으면서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 한가지는 PartyRock AI 생성형 플랫폼이다. PartyRock은 Amazon Bedrock의 기초 모델을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작동하는 PartyRock 앱으로 전환한다. 앱을 만들고 Backstage 페이지에 PartyRock 크레딧을 100% 사용했다고 표시될 때까지 실행할 수 있다.1. PartyRock 앱을 만들어 시작.2. 이것은 학습을 시작할 수 있는 시작점을 제공.3. 위젯이라고 불리는 UI 요소를 편집하여 앱을 빌드. AI 기반 위젯에는 3가지 유형이 있다.이미지 생성, 챗봇, 텍스트 생성. AI 기반 위젯을 편집하여 다른 위젯에 연결하고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사용자 입력 위젯을 사용하면 AI 기반 위젯에 연결할 때 사용자가 출력을 변경할 수 있..
[ 인지 / UX ]시스템1의 특징과 평상시 활동 행동경제학자, 대니얼 카너먼는 책 ‘생각에 관한 생각’에서 첫 장부터 뇌의 시스템1, 시스템2를 설명한다.개인적 생각으론 사람은 저 두 시스템 방식으로 사고체계를 만들어간다는 전제이지 않을까 한다.시스템2가 관여하지 않아야 사람들이 시스템2의 깊은 사고 없이 결제든 점수든 후하게 준다고 한다. 시스템1은 언제나 '투쟁과 회피'시스템 1은 생물체가 생존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주요 문제를 끊임없이 평가하도록 진화했다.'지금 주변 상황은 어떤가?''위협이나 절호의 기회가 온 건 아닐까?''모든 것이 정상인가?''다가가야 할까, 피해야 할까?'이런 문제가 도시에 사는 인간에게는 사바나에 사는 가젤에게만큼 절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우리가 물려받은 신경 체계는 현재의 위협 수준을 평가하도 록 진화했으며, 그런 ..
[ FE ] 우리가 홈페이지를 만들 때 고려해야할 사항은 뭘까?-2 4.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합니다.WWW가 구상되었을 당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은 몇 가지 방법으로 제한되었습니다.링크를 클릭하면  GET 새 페이지가 나타나고 새 페이지가 렌더링됩니다.양식을 제출하면   새 페이지가 렌더링됩니다 POST . GET이미지나 객체를 포함하면  GET 비동기적으로 렌더링됩니다. 허나, 여기에는 2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새 페이지로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뒤로 가기 버튼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데이터를 보낼 때마다 새 페이지를 불러오기뒤로 가기 버튼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 발생이와 같은 문제는 Javascript와 AJAX를 통해서 해결 가능해집니다. 다시 말해 사용자 경험이 좋아집니다. 이걸 React 관점으로 바꾸면 비동기 데이터 ..
[ 서버 / AWS ] 아마존 AWS 활용한 클래식 서버 체험하기(S3-EC2-DB) 아마존 AWS 교육을 받았다. 이 글은 각 vscode 등으로 client & server가 이미 다 작성됐다는 상태로 AWS만 설정 하는 방법을 공유하는 글이다. 온프레미보다 장점은 역시 가변성. 언제든지 스케일 확장이 빠르게 가능하며, 특히 초기 스타트업에서 장점은  기회비용이 적다는 것이다. 언제든지 프로젝트의 스케일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S3 – EC2 – DB’ 개념 설명S3 (Simple Storage Service)역할: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객체 저장 서비스입니다. 웹사이트, 모바일 앱, 백업, 아카이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EC2 (Elastic Compute Cloud)역할: 가상 서버를 생성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기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