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rspace : 배경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공유경제 등 융합을 통한 기술 혁명이 생활 전반을 지배하는 시대로 창의적 사고를 하는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음. 이에 우리 정부는 혁신성장을 위한 4대 혁신기반 구축에 정책역량을집중하며 ‘혁신성장 거점’으로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확산 방안’을 마련함.
From 문체부 가이드라인, 2018.06 발행 : https://www.korea.kr/common/download.do?tblKey=EDN&fileId=212498
Makerspace : 정의
메이커스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이용자들이 창조하고, 만들고,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공간’ 혹은 ‘실험과 놀이를 통해 함께 학습하는 공간’, 개조 하고(tinkering), 실험하고(experimenting), 창작하는(creating) 협업공간, ‘해커스 페이스의 DIY(Do it Yourself) 형태’ 등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음.
추가 자료 : https://ko.wikipedia.org/wiki/해커스페이스
근데 왜 도서관?
공공도서관의 정보 보존과 확산이라는 전통적인 기능에 3D 프린터, 레이저커터, 응용 소프트웨어 등의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지식의 창출, 창조 및 협업을 위한 공간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음.
미국 박물관도서관서비스협회의 발언 추가
미국 박물관도서관서비스협회(IMLS,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는 성공적인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을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인을 목적(purpose), 사람(people), 장비/장소(materials, equipments, spaces) 등으로 규정함. 하지만 각각의 도서관 특성과 환경에 따라 메이커스페이스 모형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시작 단계에서 ‘어떠한 기기를 구비해야 하는가?’의 질문보다는 ‘왜 우리 도서관에 메이커스페이스가 필요한가?’, ‘어떠한 메이커스페이스를 구축하고 운영할 것인가?’의 명확한 계획 단계가 필요할 것을 강조함
목적 : 지역사회 및 이용자 요구 분석, 프로그램 효과성, 도서관의 목적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목표 설정
사람 : 프로그램 운영 인력에 대한 정책, 훈련, 지원 체계 마련
장비/장소 : 어떠한 기기를 어떻게 사용할 것이며 이를 필요로 하는 장소의 위치, 사이즈 등에 대한 명확한 근거와 계획 설정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목표 및 기능
목표
공공도서관은 정보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지역주민이 빠르게 진화하는 정보 혁신과 기술을 경험하고 미래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시민으로 양성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사명이 있음
기능
‘메이커문화 활성화를 통한 미래사회 대비 창의인재 육성’이라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목표 실현을 위한 세 가지 기능은
첫째, 디지털리터러시 공간으로의 기능
둘째, 공유.협업 공간으로의 기능
셋째, 창의제작 공간으로의 기능 및 서비스 제공
메이커스페이스 in 도서관 운영과 한계 : 2017.02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정윤금 논문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719554996371.pdf
(문체부 가이드라인, 2018.06 발행)
메이커스페이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방안으로
첫째, 다양하고 안정적인 재원 확보가 필요하다. 해외 메이커스페이스의 운영은 주로 도서관 의 예산을 지원 받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이외의 외부 지원금, 기부금, 소속된 기관의 추가 재정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비교적 안정적이고 다양한 재정지원을 확보하고 있다.
둘째, 전문 인력 배치 및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자원봉사자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홍보전략 방안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메이커스페이스는 지역주민이 소통하는 공간을 넘어 신기술을 통한 교육과 창조의 공간, 지역 아카이브 생성의 ‘메이킹’ 공간이 되어야 한다.
메이커스페이스 in 도서관 운영과 한계 : 2020.08 한밭대학교 경영학과쪽에서 발표한 논문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2026163871932.pdf
급격히 성장한 메이커스페이스가 혁신(창업)공간으로 발전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 해 고려해야 할 요인을 전문가 인터뷰를 탐색
첫째, 메이커스페이스는 홍보 부족, 차별성 부족한 획일화된 메이커스페이스의 구조와 서비스, 고급인력 확보 어려움 등의 전문성 부족의 문제와 초기 메이커문화, 이용 편의 제공 부족, 소극적 교류로 등의 개방성 부족의 문제점
둘째, 메이커스페이스의 전문성 부족은 비즈니스 모델에서 차별성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자생적으로 운영이 어려운 것
셋째, 다수의 메이커스페이스는 대중창업 공간화로 가는 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능력, 인적역량 확보, 콘텐츠 확보 등의 전문성과 지역 구성원들과 네트워크 등의 개방성이 필요
'General_ > Hard_Ski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어떻게 디지털 기기에 '글'을 써야 하는가? (0) | 2023.01.02 |
---|---|
기획자, PM(Project Manager), PO(Product Onwer) 그리고 PM(Product Manager) 정의 분석 (0) | 2022.12.31 |
차나현 (0) | 2021.03.08 |
마케팅_MZ_Cat's customer (0) | 2021.02.24 |
마케팅_Marketing Value System_2 (0) | 2021.02.14 |